♧ 걸어본 코스: 6호선 증산역 3번 출구~봉산~서오릉~6호선 구산역
♧. 2025. 01. 21. 월욜.
* 잽싸게 나는 새들을 순간포착 하겠다고 숨소리도 죽여가며...
암튼 웃기는 하루 걸음도 엄청 걸었음.
덕분에 서오릉 역사문화 답사 유익했음.

2번 출구로 나와서 3번 출구로
건너가 마을길 따라 올라감

반홍산 우물터 우측으로 진행하다 보면
능선에 정상가는 등로는 잘 나있다.

반홍산 정상.


사양정이라는 정자도 지나고...
서오릉 고개방향으로 계속 진행.





야생화 팀들이 갑자기 철새팀으로...
서오릉을 답사하기 위해 덤으로
걸어 본 은평구 둘레길 봉산.





깔꼼 한 편백정에서 친구가 가져온
인삼에 꿀 찍어 먹으며 쉼. [고맙]



은평구 봉산 정상에 도착.
미세먼지 너무 심해서 조망은 꽝.







서오릉 고개.
서울시 은평구와 경기도 고양시 경계선
서울둘레길과 은평둘레길이 함께 간다.



서오릉 답사를 위해 은평둘레길은 덤.
서오릉만 걷기는 역부족이었을까?
답사하며 걸어보니 그것도 아닌 듯...

명릉. [숙종과 인현왕후. 인원왕후]
숙종의 두 번째 왕비. 인현왕후 민 씨.
숙종과 쌍릉 △
세 번째 왕비 김 씨의 능. [사진 좌. 단릉]




제실.
능을 수호 관리하는
능참봉 상주하던 곳.



미세먼지 가득한 하늘에 잠시 나온 둥근 해

▽ 수경원. [추존 장조 생모 영빈[
수경원은 조선 21대 영조의 후궁이자
추존 장제의 황제 [사도세자]의
생모인 영빈 이 씨의 원이다.▽


△ 익릉 [숙종비 인경왕후]
숙종의 첫 번째 왕비.
20세에 천연두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산책로 방향을 따르면 소나무 숲길을
조용히 걸을 수 있는 명상의 길이다.

△ 순창원.
[순화세자와 공희빈 윤 씨의 원]
조선 13대 명종의 아들.
순창원은 한 봉분에 왕세자와 왕 세자빈을
함께 모신 합장의 형식이다. △

솔향 그윽한 서오릉의 일원에서
갑자기 날쌘 새들을 포착하겠다고
숨소리조차 죽여가며 ㅋㅋㅋ


△경릉 표석 비문
경릉은 의경세자로 10대 성종이 왕위에
올라 추존된 덕종과 소혜왕후의 능.▽

▽ 대빈묘.
조선 19대 숙종의 후궁.
20대 경종의 어머니
옥산 부대빈 장희빈의 묘. ▽


△ ▽ 홍릉. 조선 21대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의 능



△ 창릉.
조선 8대 예종과 안순왕후.
서오릉의 가장 먼저 조성된 릉.

다시 소나무 숲길 걸어보며 다다른 곳
인성대군 초장지 ▽
이곳은 조선 8대 예종의 첫째 아들
인성대군의 묘가 있던 자리.
세조 9년 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
세조는 어린 손자에게 효소라는
시호를 내리고 인성 군으로 추봉함.



[사적] 고양시 서오릉
서오릉은 서쪽에 있는 '다섯 기의 능'
구리 동구릉 다음으로 규모가 큰
조선 왕실의 왕릉군이다.
서오릉 안에는 왕릉 5기.
창릉, 경릉, 익릉, 명릉, 홍릉.
원 2기→순창원. 수경원.
묘 1기→ 대빈묘.
* 동원이 강릉: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각각 능을 조성한 형태
* 쌍릉: 한 언덕에 왕과 왕후의 능을
나란히 조성한 형태.

서오릉의 담장 문양.

△ 여기까지 일정 마무리.
구산역 1.4m 또 걸으며
고양시에서 은평구로 다시 넘어오며
시끌벅적한 시장 구경하며 정신 혼미
함께 걸었던 친구들의 사진 모음 ▽



봉산 봉수대 해맞이 공원에서 단체.






봉산 봉수대에서 은평둘레길 하산.
경기도 고양시와 서울시 은평구 경계선
도로 따라 서오릉 도착.




서오릉에 새들이 많다는 소문 듣고...









모처럼 셋이 모여 엄청 걸으며
문화유산 답사하 듯 새로운 체험으로
친구들 덕분에 즐거운 하루 찐 고맙.
감사했습니다.
2025. 01. 21. 화욜.
'◈서울경기인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2/1. 북한산 영봉 (0) | 2025.02.01 |
---|---|
고궁산책 (0) | 2025.01.29 |
우이천 원앙과 함께 (0) | 2024.12.20 |
마곡 서울 식물원 (0) | 2024.12.12 |
12월 행복 출발 (0) | 2024.12.01 |